내화피복정의
내화피복공법이란 화재발생시 강재의 온도상승 및 강도저하에 의하여 건물이 붕괴되는 일이 없도록 강재 주위를 내화재료로 피복하는 공법을 말한다.
내화피복이유(원인)
철 자체는 불연재지만 열을 대단히 잘 통과시켜 주며 철의 고유성질인 내력 (인장강도 , 압축강도)이 급속히 저하됩니다.
각국에서는 건물의 철골구조에 내화 피복제를 도포시켜 급격한 내력(주로 인장강도)의 저하로 인한 건물의 붕괴를 막고자 하고 있습니다. 참고로 현재 우리나라는 1000℉(538℃)에서 인장강도 한계온도로 규제하고 있습니다.
내화기준
층수기준 건물높이 내화시간
1~4층 20M 이하 1시간
5~12층 2M초과 ~ 50M이하 2시간
12층 이상 50M 초과 3시간
내화피복공법(해결책)
1. 습식공법
1) 타설공법
- 철골구조체 주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, 경량 Con'c 및 모르타르 등을 타설하는 공법(즉, 철골 주위에 콘크리트를 붙이는거죠 기둥모양처럼 되겠죠.)
- 필요치수 제작이 용이하며, 구조체와의 일체화로 시공성 양호
- 표면 마감 용이, 강도확보 및 내충격성
- 시공시간이 길고 소요 중량이 큼
2) 뿜칠공법
-철골강재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 후 내화재를 도포하는 공법
-복잡한 형상에도 시공성이 좋다
- 내열성 및 간접적인 단열 흡음효과가 좋다
- 재료의 손실율이 크다(아무래도 뿌리다보니)
- 피복두께, 비중 등 관리가 곤란하다(균일하게 도포하는게 어려우니까요 아무래도)
3) 미장공법
-철골의 부착력 증대를 위해 metal lath 및 용접철망을 부착하여 단열모르타르로 미장하는 공법
-비교적 신뢰성이 높다
- 작업소요시간이 길다
- 기계화 시공이 곤란하다
- 넓은 면적의 시공이 곤란하여 부분시공에 많이 쓰인다.
4) 조적공법
-콘크리트 블록, 벽돌, 석재 등으로 철골 주위에 쌓는 방법
-충격에 비교적 강하다
-박리의 우려가 없다
- 시공시간이 길다.
2. 건식공법(성형판 붙임공법)
-내화 단열이 우수한 경량의 성형판을 접착제나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공법
-재료로는 PC판, A.L.C, 석면규산 칼슘판, 석면성형판 등이 있다.
-재료, 품질관리 및 작업환경이 양호하다(건식들의 특징이죠)
- 부분보수는 용이하다 접합부의 내화성능이 불리하다
- 충격에 비교적 약하다
- 보양기간이 길다
3. 합성공법
-이종재료를 적층하거나, 이질재료의 접합으로 일체화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공법
1) 이종재료 적층공법
-건식, 습식 공사의 단점을 보완한 공법
-바탕에는 석면성형판, 상부에는 질석 Plaster를 마무리하는 공법
-건축물 마감의 평탄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음
2) 이질재료 적층공법
-초고층 건물의 외벽공사를 경량화 목적으로 공업화 제품을 사용하여 내부 마감제품과 이질재료를 접합하는 공법
- 외부는 P.C판으로, 내부는 규산 칼슘판으로 마감하는 공법(이종은 질석으로 감싸고 그 바깥쪽에 석면을 감싸는 방법이고 이것은 반은 피씨판, 반은 규산칼슘판으로 시공하는 공법입니다)
4. 복합공법
-하나의 제품으로 2개의 기능을 충족시키는 공법으로 외부 커튼월과 내화피복, 천장공사의 천장마감과 내화피복기능을 충족하는 공법
1) 외벽 A.L.C 패널 붙이기(외벽마감과 내화피복 성능)
2) 천장, 멤브레인 공법(흡음성과 내화피복 성능)
내화피복 시공시 유의사항
-철골 강재면의 방청확인 및 청소철저
- 버팀붙임재는 내화피복판과 동일 재질의 것 사용
- 줄눈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
- 흡수성에 의한 접착제의 접착성 저하에 유의
- 충격에 의한 파손방지를 위해 보양처리 철저
-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못 또는 꺾쇠로 보강